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부스트캠프
- 알고리즘
- 머신러닝
- codingtest
- 추천시스템
- 추천 시스템
- 웹크롤링
- Python
- 코딩테스트
- 백준
- 데이터 엔지니어링
- coursera
- 코테
- pytorch
- recommendation system
- SGD
- 협업 필터링
- 데이터
- 프로그래머스
- 시각화
- 딥러닝
- selenium
- Tensor
- Cosine-similarity
- 파이썬
- Overfitting
- TF-IDF
- wordcloud
- 분산 시스템
- 웹스크래핑
- Today
- Total
목록Algorithm/Baekjoon (15)
개발자식
✔︎ 문제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503 14503번: 로봇 청소기 첫째 줄에 방의 크기 $N$과 $M$이 입력된다. $(3 \le N, M \le 50)$ 둘째 줄에 처음에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좌표 $(r, c)$와 처음에 로봇 청소기가 바라보는 방향 $d$가 입력된다. $d$가 $0$인 경우 북쪽 www.acmicpc.net ✏️ 나의 풀이 - 이 문제는 직접 그려서 이동했을 때, 예제와 같은 값이 나오지 않아 문제를 여러번 읽었었다..! 일단 1번으로 돌아간다는 말은 전체 1번을 의미한다. - 문제 그대로를 구현하면 되는데, 1. 현재 칸의 청소 유무와 벽인지 아닌지 구분이 필요하고 2. 주변이 청소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 3. 주변이 모두 청소가 되어있다..
✔︎문제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799 10799번: 쇠막대기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.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,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. 쇠막대기와 레이저 www.acmicpc.net ✏️ 나의 풀이 - ()인 레이저인 경우와, 막대기인 경우 두가지로 나뉘는데 레이저인 경우 지금까지 쌓여있는 막대기를 수직으로 자른다. ex) (()) : 막대기 한개 레이저 한개로 두동강 남 -> 답: 2 - 막대기인 경우 stick 리스트에 쌓아주고, 레이저인 경우 stick에 쌓인 막대기개수 더해준다. 그리고 막대기가 끝나는 지점이라면 리스트에서 빼주고 +1 한다. - 현재와 앞에 값을 비교..
✔︎ 문제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39 1439번: 뒤집기 다솜이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를 가지고 있다. 다솜이는 이 문자열 S에 있는 모든 숫자를 전부 같게 만들려고 한다. 다솜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S에서 연속된 하나 이상의 숫자를 잡고 모 www.acmicpc.net ✏️ 나의 풀이 0과 1의 연속적인 구간을 덩어리로 묶었을 때, 더 작은 덩어리 개수인 것을 출력하는 아이디어로 구현 - 문자열에서 숫자가 바뀌는 구간을 딕셔너리에 저장하고, 0과 1 둘중에 더 작은 값을 출력한다. - 0에서 1로 바뀔 때 check[0] += 1, 1에서 0으로 바뀔 때 check[1] += 1 로 값을 더해준다. ex) 000110 일 때, 1) 0 -> chec..
문제: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79 2579번: 계단 오르기 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. 과 같이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 www.acmicpc.net 나의 풀이 (틀림) - 마지막 계단은 꼭 올라야 한다는 조건을 고려해서 마지막 계단에서 거꾸로 내려가는 방식을 생각했다. - 계단을 한 칸 뛰고 온 건지 두 칸 뛰고 온 건지에 대한 확인하는 변수와 dp를 활용했는데 - 이전 계단에서 오는 경우에도 dp를 활용하여 에러 난 것 같다. - 내가 생각한 이 문제의 포인트는 마지막 계단 입장에서 최대의 해를 구할 수 있는 점화식을 세우는 것이다! 이렇게 하면 ..

피보나치 함수 코드 n = int(input()) # fibonacci(0) = 0, fibonacci(1) = 1, # fibonacci(2) = fibonacci(1) + fibonacci(0) # fibonacci(3) = fibonacci(2) + fibonacci(1) arr = [] if n == 0: print(1, 0) else: for i in range(n): k = int(input()) arr.append(k) temp = arr.copy() temp.sort() if n == 1 and k == 0: print(1, 0) else: dp = [[0,0]] * (temp[-1]+1) dp[0] = [1,0] dp[1] = [0,1] for i in range(2, len(dp)): ..
별 찍기 -10 코드 import sys sys.setrecursionlimit(10**6) def append_star(LEN): if LEN == 1: return ['*'] Stars = append_star(LEN//3) L = [] for S in Stars: L.append(S*3) for S in Stars: L.append(S+' '*(LEN//3)+S) for S in Stars: L.append(S*3) print(L) return L n = in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 print('\\n'.join(append_star(n))) 풀이를 생각해낸 과정 참고 시간복잡도 계산 수 정렬하기 코드 n = int(input()) temp = [] for i in ..